1. 한덕수 프로필 출생 1949. 전라북도 전주나이 74세, 만72세 학력사항 1982~1984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1977~1979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1967~1971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1967 경기고등학교 수상내역 2013 국민훈장 무궁화장2012 밴플리트상2007 칠레 대십자훈장2003 제1회 암참어워드 한미 경제 교류 공헌상1992 홍조근정훈장1971 대법원장상 경력사항 2015.11~2017.12 제3대 기후변화센터 이사장2015.6~ 청소년적십자 사업후원회 고문2012.2~2015.2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2009.2~2012.2 제22대 주미국대한민국대사관 대사2007.6 FTA국내대책위원회 위원장2007.4 제38대 대한민국 국무총리2006.8 한미FTA 체결 지원위원회 위원장2005.3~2006.7 제8대 재정경제부 장관, 경제부총리2004 제8대 국무총리국무조정실 실장2003.7~2004.2 제15대 산업연구원 원장2001.11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2000.12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한민국대표부 대사1998.3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1997.3 제4대 통상산업부 차관1996.12~1997.3 제11대 특허청 청장1994.12 통상산업부 통상무역실 실장1994.5 상공자원부 기획관리실 실장1993.4 대통령비서실 통상산업비서관1989.1 상공부 중소기업국 국장1979 경제기획원 경제협력국 경협총괄과 사무관1970.6 제8회 행정고시 합격 [출처 : 네이버프로필정보] 2. 이슈 요약 인연이나 연고가 없어도 능력이 출중하다면 중용하겠다는 윤석열 당선인 의지. 새정부 첫 국무총리에 한덕수 후보자가 거론되고있습니다. 한덕수…
[태그:] 정치
김동연 프로필 경기도지사 학력 가족 나이 모든것
1. 경기도지사 김동연 프로필 정당 더불어민주당김동연 나이 1957년 01월 28일 (65세)김동연 가족 아내 정우영, 김동연 고향은 충북 음성 어릴때 가족들과 서울로 이사함 학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중퇴 국제대학 법학과 야간대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신권위주의와 오늘날의 한국 그리고 문재인 정부
연관글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근 국제적으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는 신권위주의이다. 2차세계대전과 프랑스의 68혁명과 포스트모더니즘 열풍 이후, 수직적인 구조를 탈피하고, 수평적인 구조로 세계는 움직이기 시작하고 민주화도 급속도로 이루어 졌다. 전체주의, 공산권 소련의…
일본이 한국 정치에 관심이 많은 이유
일본 국회사무실이 아니라, 어느식당에서 한국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청문회를 틀어주는 모습이다. ???? 국제정인 정세 측면에서 일본의 정치인들이 촉각을 세우고 어떻게 방향이 흘러갈지 연구하고 그런 것이 아니라 그냥 순수하게 일본의 일반적인 시민들도 한국정치에 관심이…
노무현의 공산당 허용해야한다는 말을 알아보자
지금은 시간이 지나서 노무현에 대해서 잘 모르고 심지어 미화된 부분도 있는데, 노무현은 상당히 막말을 많이 했다. (대통령 못해먹겠다, 호남인과 못하겠다 등등등) 그러던 노무현은 2003년 일본을 방문하면서 뜬금없이 이런 말을 한다. 공산당 허용해야…
민주당 문재인과 공약이 똑같은 일본 군소정당 레이와신센구미
일본은 한때 군국주의를 꿈꾸며 2차세계대전을 일으켰지만 한편으로는 이후에는 일본이 주일미군 덕분에 전쟁을 겪을 일이 없어서 평화에 취해 넋이 나갔다고 한다. 이걸 헤이와보케(平和ボケ)라고 부른다. 동성애 지지자, 트럼프 반대자, 난민 감성팔이, PC는 기본이요 심지어 대놓고 공산주의 외치는…
미국은 왜 상원과 하원으로 나누어 졌을까?
미국의 뉴스를 보면 상원에서 통과가 되었다니 하원에서 반대를 했다니 하면서 상원의원 하원으로 나누어 진것을 볼 수가 있는데 궁금 할 수 있다. 나도 물론 궁금했고 처음부터 설명 해볼까 한다. 미국은 왜 상원과 하원으로…
미국 소말리아 의원 일란 압둘라히 오마르(Ilhan Abdullahi Omar)를 알아보자
이 여자의 이름은 일란 압둘라히 오마르(Ilhan Abdullahi Omar). 1981년생에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 태어났고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자 난민 자격을 인정받아 미국에 왔다. 그리고 미네소타주에 정착하여 그곳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공공학교의 영양사로 일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민주당 하부 조직들 중에서도 사회주의 성향이 강한 미네소타 DFL(Democratic–Farmer–Labor)당에서 여성이며, 동아프리카 출신이며, 무슬림이며, 교육 분야에서 일한다는 점을 평가받아 헤드헌팅 되었다. 그때부터 정치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2018년 선거에서 미네소타 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미네소타 최초의 무슬림 하원 의원이기도 하다. 정책면에서 보면 전형적인 페미+무슬림+난민팔이 정치인. 오바마 정도는 까마득히 씹바르는 극좌파이다.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풀커버 의료보험을 주장하고 있으며, 동성애 지지를 표명했다. 또한 유태인들이 중동에서 죄를 짓고 있으며 무슬림들이 단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이슬람 근본주의자로 분류된다. (오마르는 자신이 근본주의자임을 부인하고 있음) 또한 사우디 아라비아를 보이콧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미국이 사우디의 예멘 침공을 지원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한편 의회에서 미국의 베네수엘라 정책에 대해 청문회가 열렸는데 여기에 정부측 대변인으로 미국의 베네수엘라 특사 엘리엇 에이브람스가 출석함. 에이브람스는 레이건 행정부에서 국무부 소속의 인권 업무를 담당하던 인물임. 트럼프 대통령이 베네수엘라 특사로 발탁한다. 오마르는 청문회에서 미국 정부가 임시대통령 후안 과이도를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으로 인준한 것은 미국이 쿠데타를 지원하는 거 아니냐고 따진다. (팩트는 미국 이외에도 브라질, 캐나다, 콜롬비아 등 여러 국가들이 과이도를 인준함) 에이브람스가 대답하려고 하자 오마르는 말을 끊고 “나는 질문을 하는 게 아니다”고 말한 뒤, 미국이 1982년 엘살바도르의 쿠데타를 지원하고 CIA가 마을 주민들을 학살했다고 말하면서 (당시 에이브람스는 미국 정부가 엘살바도르에서 큰 성취를 이뤘으며 학살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냐고 따짐. 에이브람스는 “정말 멍청한 질문이군(That is a ridiculous question)”이라고 답하고 인신공격에는 답하지 않겠다고 대꾸함. 오마르는 더욱 기세등등해져서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너는 대학살도 옹호할거냐? 니가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니카라과에서 그랬듯이?”하고 소리를 지름. 에이브람스는 “이러한 종류의 질문은 답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고 믿기에 대답하지 않겠습니다(I don’t believe this line of questioning is meant to be real questions and so I will not reply)” 말하고 묵살함. 그러나 오마르는 계속 “미국의 이익을 위하는데 어떻게 학살이 일어나느냐?”며 소리를 치다가 나중에야 “미국의 정책은 베네수엘라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수습하려고 함. 한편 이번 청문회에는 페미니스트 운동가들이 베네수엘라에 개입하지 말라는 슬로건을 들고 등장하여 눈길을 끌었다. 아마도 저들이 오마르와 사전에 접촉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에이브람스는 다른 의원들의 질문에 대해 “경제, 외교적 수단을 통해 베네수엘라의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지만 군사적 수단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고 트럼프와 같은 말을 반복. 그리고 공식적으로 베네수엘라 군부에 마두로를 버리고 과이도에게 충성을 맹세할 것을 권함. 추가로 덧붙이자면, 한편 극심한 외화난에 의해 2019년 베네수엘라 석유 생산량은 작년의 절반으로 떨어질 예정임. 후안 과이도는 국영석유회사 PDVSA의 이사진을 교체하겠다고 발표함. 외교나 세계정세 좃도 모르는 페미년들 나대는 건 동서공통.
태국의 최저임금제와 쿠데타에 대해서 알아보자(태국 탁신 총리)
한국에서도 문재인 정권이 집권한 이후에 꾸준하게 최저임금으로 인한 이슈가 끊임 없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태국의 사례가 적절하게 보여서 소개를 해줄려고 한다. 태국 화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약간 소개를 하자면 태국은 밧이라는 단위를…
필터버블이 무엇일까? 여론조작이 이루어지는 과정
이번에는 필터버블과 여론조작이 이루어 지는것을 알아보고자 적는다. 그리고 여론조작의 도구로 필터버블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 하면 한다.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한다는 것을 어디에선가 볼 것이다. 네이버 AIR뉴스 서비스, 유튜브에 흔히 보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