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축하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주는 축의금! 그러나 축의금 액수는 언제나 고민되는 사항이기도 합니다. 특히 상대방이 먼저 결혼한 경우라면 더더욱 어려워지는 사안인 것 같습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으로 축의금은 홀수단위로 올라가며 10만 원 이상 단위부터는 5만 원 단위로 보시면 됩니다. 즉 최소 3만 원부터 5만 원, 7만 원 순으로 올라가며 9만 원은 거의 하지 않고 바로 10만 원으로 넘어갑니다. 그 후로는 15만 원, 20만 원, 30만 원 순으로 올라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30만 원 수준이면 상위 10% 정도에 들 정도로 많은 금액이며 상황에 따라 50만 원, 100만 원까지도 하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거의 왕래가 없는 친구 관계인 경우 3만원도 종종 하는 추세였는데 이제는 물가도 오르고 웬만하면 최소 5만 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다만 위에서 설명드린 데로 돈이 없는 학생이거나 형편이 좋지 못할 경우에는 무리하지 마시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1. 축의금 금액별 기준
축의금은 말 그대로 결혼을 축하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본인의 형편과 친함에 따라 원하시는 만큼 해주시면 되는데요. 미혼 남녀가 생각하는 적정 축의금 기준은 5만원과 ~ 10만 원 사이로 나타났습니다.
연락 한번 없다가 모바일 청첩장을 주는 경우 : 없음
간혹 만나거나 1년에 한번 만날까 말까 한 사이 (또는 가깝지 않은 직장 동료, 부서 사람) : 5만원 이하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사이 (예, 직장 동료) : 5만원~7만원
친한 친구 (주기적으로 종종 만나는 친구), 같은 부서, 앞으로 계속 볼 사람. 다른 부서지만 친한 사람 : 10만원
결혼하는 친구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알고 계실 경우 : 15만원~ 20만원
가족 이상으로 친한 친구 : 20만원 이상
2. 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봉투 쓰는 법도 예를 지켜서 잘 쓰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봉투 앞면에는 축하 문구를 한자로 적게 되는데 요즘은 한글로 적자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축하 문구로는 축결혼, 축성전, 축성혼, 축화혼, 하의 이렇게 다섯 가지 문구가 있습니다. 축결혼은 신랑 쪽, 축화혼은 신부 쪽에 축의금을 낼때 주로 쓰는 문구인데 축결혼의 경우 현대에는 신랑, 신부쪽 모두 구분 없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 축결혼 : 신랑에게 사용하는 문구로 혼인을 맺은 것을 축하한다는 의미입니다.
- 축화혼 : 신부에게 사용하는 문구로 혼인의 빛나는 것을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 축성전 : 결혼식의 성대한 의식을 축하한다는 의미입니다.
- 축성혼 : 결혼식의 성스러운 혼인을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 하의 : 예의를 갖추어 축하한다는 의미입니다.
축의금 봉투 뒷면에는 자신의 소속과 이름을 적습니다. 왼쪽에 세로로 적으며 소속이 없을 때는 생략해도 됩니다. 한자로 적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에는 대부분 한글로 이름을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