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가 역전되었을 때는 전량 매도하십시오.

 

2편에서 다뤘던 매수 기준에 따라

상승 추세에 매수를 하였다면

하락 추세에는 매도를 해야합니다.

 

이동평균선에서 하락 추세는

20일선 > 5일선 > 캔들

상승 추세와 반대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이며

 

일목균형표에서 하락 추세는

기준선 붕괴, 선행스팬(구름) 붕괴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4월 초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나타내어 매수를 하였다면

4월 중순 하락 추세로 전환을 나타냈을 때 매도를 했어야 합니다.

 

주가가 다시 상승하면 어떡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을 것이고

호재가 있는데 이 호재는 선반영 되었는지?

실적이 좋은데 이 실적은 선반영 되었는지?

 

우리가 알 수 없습니다.

 

시장이 판단하고 추세를 결정합니다.

 

단순히 추세가 무너졌으면 다시 팔고

추세가 상승 전환을 하였다면 다시 사면 됩니다.

 

위 차트를 예시로

삼성전자가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하려면

83,000원을 돌파하여야 다시 상승 추세로 회복하려나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 전에 굳이 매수해봐야 노심초사하며 떨어지지 않기를 기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추세의 하락 전환을 나타내는

캔들이 기준선을 붕괴하였을 때,

캔들이 20일선을 붕괴하였을 때 일부 매도합니다.

– 주가 하락의 경우 리스크 일부 관리 가능

– 주가 상승의 경우 불어난 평가금액에 대한 비중 관리 가능

 

하락 추세를 나타내는

캔들이 선행스팬을 붕괴하였을 때,

5일선이 20일선을 붕괴하였을 때 전량 매도합니다.

– 주가 하락의 경우 추가 하락, 횡보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기회 비용 제거

 

주가가 얼마가 빠지던, 얼마가 횡보하던 이제 당신의 계좌와 관계가 없어졌습니다.

추세가 회복될 때 까지 기다렸다 다시 매수를 하셔도 되고

다른 추세가 좋은 종목으로 올라타셔도 됩니다.

 

 

요약

1. 거래대금이 200억 이상, 차트가 정배열인지 확인 후 자신이 생각하는 시장의 방향성과 일치할 때 무지성 풀매수

 

2. 추세가 하락 전환을 보일 때 1/3 매도

(종가가 기준선 아래로 하락했을 때)

 

3. 하락 추세로 변했을 때 전량 매도

(종가가 선행스팬1 또는 선행스팬2 아래로 하락했을 때)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