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게 태어난 것은 당신의 실수가 아니다.
“그러나 죽을 때도 가난한 것은 당신의 실수다.”
-빌게이츠
작년에 개봉한 봉준호 감독님의 작품인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의 위엄을 차지하면서
”’빈부격차’에 대해 전 세계의 사람들의
모든 이목을 다시 사로잡았습니다.
영화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이 영화에서 특히나 주목해야 했던 부분은
전 세계의 공통 관심사 중의 하나이기도 하고
모든 나라의 사회적인 문제 중 하나였던
”’빈부 격차’였습니다.
한국영화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을 한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벅차오르는 감동이 있으나 ”’기생충’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우리가 직면한 암울하지만
현실적인 부분이 조금은 씁쓸하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무엇 때문에 우리 사회는 빈부격차라는
사회적 문제를 겪게 되었을까요?
사회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던 어린 시절에
이러한 생각을 한적이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서로 도와주고
잘 지내면 행복하지 않을까?
그러나 선진국이라 불리는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빠른
성장체제를 이루고 있고 그로 인해서 자본주의적인
사회적 분위기도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흔히 말하는” ‘부익부 빈익빈’ 즉 재산이
많은 사람들은 재산이 더욱 불어나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한 없이 가난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부익부 빈익빈’은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인
”’관성의 법칙’과도 같습니다.
돈의 방향이 부자를 향한다면 가속도가 없어도
꾸준히 부자가 될 것이고 반대로 가난을 향한
방향이라도 끝도 없는 가난 속으로 파묻히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누군가가
해결해주기를 기다려야 하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만약에 부를 향해 나아가는 기차를
탑승했다면 지금 하시는 것처럼 꾸준히 일을
하시면 되겠지만 만약에 가난을 향해
달려가는 패망의 기차를 타고 있다면
지금 당장 스스로가 자각을 하시고
어떻게 하면 다시 부를 향한 기차로
환승을 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당신이 패망의 기차를 탔음에도 심각성을
모르고 있다가 추후에 본인이 가난을
향하는 기차를 탔다고 생각이 드는
순간에는 브레이크를 밟을 수도 없이
너무 빠르게 향해서 환승을 할 수조차
없는 상황에 이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부를 향해 나아가는
기차를 탈 수 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해
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진리는 ”’많은 것을 아는 것입니다.’
”옛말에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어쩌면 이 문장도 너무 많이 들어서
진부하게 들리실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부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많은 지식들을 습득을 하셔야지만
부의 기차에 탑승을 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 21세기 자본주의는에서는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많은
플랫폼들이 있기에 여러분이 그곳에서
정보의 옳고 그름 정도만이라도 제대로
파악을 해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것들을 본인에게 가지고 와 장착을 한다면
여러분도 충분히 부를 향한 기차에 탑승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록 나아가는 시간이 조금은 느릴 수는 있으나
부를 향한 방향만큼은 옳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