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스팟 테더링 제한에 관해서 이 게시글을 보았다면 따로 설명은 필요가 없을 겁니다. 막혀있는거 무제한으로 열기위해서 방문하신 것이니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안드로이드 기준 구글 플레이앱스토어에 들어가서 프록시와 관련된 어플을 설치해줍시다. Every Proxy기준으로 설정하겠습니다. 다른 프록시 어플이라도 방법이 다 똑같기에 다른거 사용하셔도 됩니다.


Setting로 들어가서 Power save를 꺼주세요 켜져있으면 데이터공유가 불안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HTTP Proxy를 켜주고 테더링이나 핫스팟으로 노트북과 연결을 합시다.

이때 Hotst에 몇가지 IP와 PORT번호가 나오는데 이를 기억해둡시다. 그러면 이제 노트북(윈도우기준)을 넘어가 프록시 설정을 해줍시다.

윈도우 11의 경우 바로 프록시 설정이라고치면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프록시 창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동 프록시 서버 사용, 프록시 서버 편집을 설정해줍시다.
프록시 IP 주소는 아까 앱에서 나온 Hosts 0.0.0.0이나 뒤에 via로 나오는 아이피중 아무거나 하나를 사용합시다. 포트번호는 기본 8080이나 다른 포트 번호를 어플에서 설정하고 윈도우에 이를 적용하셔도 됩니다.

비슷한 어플로 NetShare가 있는데 마찬가지로 프록시 설정하는걸로 데이터공유를 우회하는 것입니다. 적절한 어플을 사용하여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주면 끝입니다. 반대로 데이터 공유를 받는 입장이 노트북, 윈도우가 아니라 같은 휴대폰이나 태블릿의 경우 프록시로 검색을 하면 설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 방법으로 핫스팟 테더링 무제한 우회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각각 TailScale라는 어플을 사용하는 방법과 APN설정을 셋팅하는 방법입니다
아니면 아이폰 12시리즈 이하는 통신사에서 예가 테더링이나 핫스팟으로 데이터 공유로 사용하는지 그냥 폰으로 쓰는지 모른다고 하네요 혹시 굴러다니는 아이폰12 시리즈 이하가 있다면 이거를 그냥 사용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