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셰일가스가 엄청나게 나오면서 미국이 천연가스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바뀜.
2. 문제는 천연가스를 수출을 할 수 있는 항구가 없었음.
3. 천연가스는 가스인 기체 상태로는 부피가 커서 한곳에 많은 양을 저장하거나 대량으로 수송할 수가 없음. 그런데 천연가스를 영하 161도로 냉각을 하면 액체가 되면서 부피가 600분의 1로 줄어듬. 이렇게 액체상태로 만들어 부피를 줄인 천연가스를 LNG(액화천연가스)라고 부름.
4. LNG를 수출하려면 천연가스 광산에서 천연가스를 가져오는 파이프라인이 필요하고, 천연가스를 액체로 만드는 설비와 액체로 된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전용선이 필요함.
5. 미국은 우선 LNG를 수입하려고 만들어 놓은 항구 13곳을 수출항으로 바꾸는 작업을 시작했고, 2016년8월 사빈패스LNG수출터미널 완공을 시작으로 2020년 부터 연간 7천만톤을 수출할 수 있게 됨.
6. 주요 수입국이 일본, 중국, 한국등 동아시아국이라 미국에서 먼 지역을 LNG선이 다녀야 함. 한번 배송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다보니 7천만톤을 수출하려면 많은 LNG선이 필요함.
7. 세계 최대의 LNG수출국은 카타르임.
8. 카타르 입장에서는 강력한 경쟁자가 곧 등장하다보니 기존 거래처들과 장기계약을 체결하려고 하고, 수출 물량을 늘려 점유율을 유지하려고 함. 카타르도 LNG선이 추가로 필요해 짐.
9. LNG선이 많이 필요해졌는데, LNG선을 만드는 나라는 한국,중국,일본 3개국 뿐임.
10. 가격이 싼 중국이 다 먹을 뻔 했음. 17년의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아말프로젝트의 LNG선 4대를 중국 후동중화가 싹쓸이 함. 삼성중공업이 가격 경쟁에서 진 적임.
11. 2016년 6월 상황이 급변함
12. 중국 국영기업이자 LNG 수주잔량 1위 기업인 후동중화의 LNG선 글래드스톤호가 호주 앞바다에서 엔진결함으로 서 버림. 2018년 6월22일 이었음.
13. 이 배임. 만든지 2년도 안된 신상 배가 고장이 난 것이었음.
14. 한달이면 수리 끝나고 다시 복귀 시키겠다는 배가 결국 고치지 못하고 폐선을 해버림. 기술이 문제였음.
15. 글래드스톤호는 그냥 LNG선중 1척이 아니었음. 기존 효율이 나쁘고 오염물을 많이 배출하는 스팀터빈엔진만 만들던 중국이 처음 만든 이중연료추진엔진 선박이었음.
16. 이중연료엔진은 가스와 디젤연료를 같이 쓸수 있는 하이브리드엔진으로 기존 스팀터빈에 비해 30%정도 연비가 좋고 오염물질이 적게 나오는 엔진이었음. 삼성중공업이 2001년12월 처음개발 했고, 이후 한국과 일본 LNG선들이 이 엔진을 개발해 왔음.
17. 호주 글래드스톤에서 중국으로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6척중 첫번째 배인 이 배가 고장이 났고, 고장 원인이 신형엔진 때문이며 결국 해결을 못하고 배를 폐선해버리는 것 때문에 문제가 커 짐.
18. 유럽 해상보험협회에서 2007-2015년간 건조된 4,426척 선박의 고장등으로 보험금을 청구한 비율을 보니 전체 보험청구의 89%가 중국배라는 발표가 나와 메이드 인 차이나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던 즈음 글래드스톤호가 터지자 중국 조선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함.
19. 세계 LNG수주에서 중국이 완전히 탈락하고 한국과 일본만 남게 됨.
20. 일본과 한국의 LNG선은 스타일이 다름. 일본은 모스형이라고 하는 선체와 독립된 구형 탱크를 싣고 다니는 배이며, 한국은 2006년부터 모스형에서 엠브레인형으로 갈아 탐. 엠브레인형은 별도로 독립된 탱크를 싣는게 아니라 선체 자체가 탱크인 배임.
21. 모스형의 장점은 안전이었음. 배가 충돌해도 별도 탱크가 있어 안전성이 높은 구조인데, 선체의 공간을 다못써서 효율이 낮고 대형화가 힘든 구조임. 한마디로 한물간 구조임.
22. 결국 작년부터 세계 LNG선 수주는 한국이 독식하고 있음. 대형LNG는 100%이고, 일부 중형 약간만 빼앗기고 있어 전체로 보면 세계 LNG선 수주의 143억불중 131억불을 수주해서 91%를 먹게 됨.
23. LNG선 독식이 한국 조선업에 인공호흡기를 끼워줌. 문제는 한국 3개 기업간 경쟁으로 더 먹을 수 있는 수익을 못 먹는 것임. 이번에 대우조선과 현중이 합병하면 이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될 거 겉음.
24. LNG선을 독식하며 3대 조선소 데크의 70%정도가 채워짐. 다르게 말하자면 꽉 채워서 돌아가던 데크의 30%가 아직 비어있고, LNG선 발주는 앞으로 5년정도가 피크임.
25. 수주잔량도 2017년 1,670만톤에 비해 2018년말 2,070만톤으로 꽤 늘었지만 동네 강아지도 만원짜리를 물고 다녔다는 2008년 6,870만톤 비하면 많이 부족함.
26. 한국 조선산업이 살아나려면 5년내 한 방이 더 필요한 상황임.